샌드위치 (흰색빵)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샌드위치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안녕하세요 ! 샌드위치 종류별 GI지수(혈당지수) 당지수 종류별 모음입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국내에 자료 및 해외자료들을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GI지수(혈당지수)의 경우 재배방식이나 지형 및 요리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마다 편차도 있습니다.
★
샌드위치 기본 정보
성분 | 샌드위치 (햄, 치즈, 채소) 포함 |
기본 (100g) | |
에너지 (㎉) | 214 |
수분 (g) | 57.4 |
단백질 (g) | 8.66 |
지방 (g) | 10.38 |
회분 (g) | 2 |
탄수화물 (g) | 21.55 |
당류 (g) | 4.67 |
자당 (g) | 0 |
포도당 (g) | 1.74 |
과당 (g) | 2.12 |
유당 (g) | 0 |
맥아당 (g) | 0.81 |
갈락토오스 (g) | 0 |
총 식이섬유 (g) | 5.5 |
수용성 식이섬유 (g) | 2 |
불용성 식이섬유 (g) | 3.5 |
100g당 포함 함량 ((참고자료: 농진청(한국, 미국 , 일본))
★
샌드위치 혈당지수 및 당부하지수
📊 1-1. 샌드위치의 혈당지수 (GI)
- ✅ 혈당지수 (GI): 약 70 ~ 75 (흰색빵 사용)
- ✅ 혈당지수 (GI): 약 50 ~ 55 (통밀빵 사용)
📉 1-2. 샌드위치의 당부하지수 (GL)
- ✅ 100g 기준 당부하지수 (GL): 약 12
- ✅ 1회 제공량 (200g) 당부하지수: 약 24
📢 샌드위치는 중간 혈당지수 및 당부하지수로 섭취시 적당량 섭취를 해야 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샌드위치 당뇨
1) 중간에서 높은 혈당지수
샌드위치 (흰색빵) 혈당지수 70 ~ 75 로 높은 수치이며, 샌드위치 (통밀빵) 혈당지수 50 ~ 55 로 중간 수치 입니다.
샌드위치는 재료에 따라 혈당지수가 달라지며, 대표적으로 샌드위치 빵에 따라서 혈당지수가 달라집니다.
통밀로 만든 샌드위치를 추천하며, 가급적이면 흰색빵으로 만든 샌드위치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식이섬유 함량
샌드위치(100g)에는 5.5g의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중 수용성 식이섬유가 2g 포함되어 있습니다.
식이섬유는 소화 속도를 늦추고 포도당의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 상승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채소와 통곡물이 포함된 경우 이러한 효과가 강화되어 혈당 변동을 줄이는 데 유리합니다.
불용성 식이섬유가 3.5g으로 많아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장건강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3) 풍부한 단백질의 포함
햄과 치즈 계란 고기등에서 공급되는 단백질은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되 급격한 혈당 상승을 완화시켜 줍니다.
단백질은 포만감을 제공하여 과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근육 합성을 촉진해 기초 대사율을 높입니다.
특히 류신(464mg)은 인슐린 민감성 개선에 기여합니다.
4) 포화 지방 및 트랜스 지방의 함량이 높음
샌드위치의 포화지방산은 (3.1g/100g)으로 상대적으로 높은편에 속합니다.
포화지방산은 주로 치즈와 가공육에서 유래하며,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당뇨 환자는 이미 혈관 건강에 취약하므로, 포화지방산의 과다 섭취는 인슐린 저항성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트랜스지방산이 (0.19g/100g)으로 소량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트랜스지방은 인슐린 저항성 증가와 LDL 콜레스테롤 상승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해로운 지방입니다.
샌드위치에 가공육과 일부 치즈 또는 마가린류가 사용될 경우 소량이지만 트랜스지방이 존재 합니다.
★
당뇨 샌드위치 요약
- 샌드위치 (흰색빵) 혈당지수 70 ~ 75 이며 당부하지수는 12이다 (100g 기준)
- 섬유질이 풍부하여 혈당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준다.
- 샌드위치에는 단백질이 풍부하며, 기초대사량을 늘려 준다.
- 포화지방 및 트랜스지방이 포함되어 재료의 선택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