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 지수 정보 모음/GI 지수 당 지수 정보 모음

소고기 햄버거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뚜리뚜리바 2025. 4. 29. 10:56
반응형

소고기 햄버거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안녕하세요 ! 소고기 햄버거 종류별 GI지수(혈당지수) 당지수 종류별 모음입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국내에 자료 및 해외자료들을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GI지수(혈당지수)의 경우 재배방식이나 지형 및 요리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마다 편차도 있습니다.

 

소고기 햄버거 기본 정보

성분 햄버거 (소고기패티)
기본 (100g)
에너지 (㎉) 229
수분 (g) 57.8
단백질 (g) 9.55
지방 (g) 13.23
회분 (g) 1.41
탄수화물 (g) 18.01
당류 (g) 4.78
자당 (g) 0.22
포도당 (g) 1.9
과당 (g) 2.66
유당 (g) 0
맥아당 (g) 0
갈락토오스 (g) 0
총 식이섬유 (g) 7.2
수용성 식이섬유 (g) 2.2
불용성 식이섬유 (g) 5

100g당 포함 함량 ((참고자료: 농진청(한국, 미국 , 일본))

 소고기 햄버거 혈당지수 및 당부하지수

📊 1-1. 소고기 햄버거의 혈당지수 (GI)

  • 혈당지수 (GI):60 ~ 70

📉 1-2. 소고기 햄버거의 당부하지수 (GL)

  • 100g 기준 당부하지수 (GL):15
  • 1회 제공량 (200g) 당부하지수:30

📢 소고기 햄버거는 중간에서 높은 혈당지수며 당부하지수는 높은편에 속합니다. 

소고기 햄버거 당뇨

1) 중간 혈당지수와 높은 당부하지수

소고기 햄버거의 낮은 혈당지수 60 ~ 70 와 당부하지수 30 으로 섭취시 주의가 요구 됩니다. 

정제밀 빵(약 GI 70)과 당류(4.78g)가 주원인이지만, 단백질(9.55g)과 식이섬유(7.2g)가 흡수 속도를 늦춥니다

통밀로 만든 빵을 사용하여 햄버거를 만들경우 혈당 상승을 완충하고 포만감을 지속시켜 줍니다. 

햄버거의 경우에는 재료에 따라 혈당지수가 차이가 나며, 대부분 빵에서 높은 혈당지수를 가지게 됩니다. 

 

2) 식이섬유 함량

소고기 햄버거(100g)에는 7.2g의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어 혈당 급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햄버거에 포함된 양상추, 토마토, 양파 등의 채소는 식이섬유를 제공하여 혈당 상승을 완화하고 포만감을 증가시킵니다.​

식이섬유는 탄수화물의 소화 및 흡수를 지연시키며,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시켜 혈당 조절에 기여 합니다. 

 

3) 단백질의 포함 

소고기 패티는 고단백 식품으로, 단백질은 혈당 상승을 완화하고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단백질은 탄수화물처럼 빠르게 혈당을 올리지 않기 때문에, 혈당 급상승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단백질은 소화가 느려져 혈당 상승 속도가 완만해지고, 인슐린 분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포화지방의 포함 

포화지방을 과다 섭취하면, 세포가 인슐린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는 "인슐린 저항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의 핵심 원인 중 하나입니다.

포화지방은 나쁜 LDL 콜레스테롤을 높여 심혈관 질환 위험을 증가하게 됩니다. 

당뇨병 환자는 원래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기 때문에 포화지방을 제한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5) 아질산나트륨의 포함 

아질산나트륨은 햄, 소시지, 베이컨 같은 가공육의 보존료로 사용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가공육 섭취량이 많은 사람은 제2형 당뇨병 위험이 더 높습니다.

아질산나트륨은 체내에서 니트로소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는 만성 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염증은 인슐린 저항성과 당뇨병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당뇨 소고기 햄버거 요약 

  • 햄버거의 혈당지수 60 ~ 70 와 당부하지수 30 이다 (1회 제공량 기준)
  • 섬유질 및 단백질이 풍부하여 포만감 및 혈당 상승을 완만하게 해준다. 
  • 포화지방 및 아질산나트륨의 포함으로 장기적으로는 부정적 영향을 준다. 
  • 밀빵 보다는 통밀빵으로 만든것이 혈당관리에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