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 지수 정보 모음/GI 지수 당 지수 정보 모음

크로켓(감자)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뚜리뚜리바 2025. 4. 25. 10:21
반응형

크로켓(감자)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안녕하세요 ! 크로켓(감자) 종류별 GI지수(혈당지수) 당지수 종류별 모음입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국내에 자료 및 해외자료들을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GI지수(혈당지수)의 경우 재배방식이나 지형 및 요리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마다 편차도 있습니다.

 

크로켓(감자) 기본 정보

성분 크로켓, 감자 크로켓, 냉동
기본 (100g)
에너지 (㎉) 157
수분 (g) 63.5
단백질 (g) 4.6
지방 (g) 4.9
회분 (g) 1.7
탄수화물 (g) 25.3

100g당 포함 함량 ((참고자료: 농진청(한국, 미국 , 일본))

 크로켓(감자) 혈당지수 및 당부하지수

📊 1-1. 크로켓(감자)의 혈당지수 (GI)

📉 1-2. 크로켓(감자)의 당부하지수 (GL)

  • 100g 기준 당부하지수 (GL):18 
  • 1회 제공량 (150g) 당부하지수:28

📢 크로켓(감자)는 중간 혈당지수 및 당부하지수로 섭취시 적당량 섭취를 해야 합니다. 

크로켓(감자) 당뇨

1) 높은  혈당지수와 당부하지수

감자 크로켓의 혈당지수는 70-75로 고GI 식품에 속합니다

튀김 과정에서 전분 구조가 변형되어 소화 효율이 증가하며, 튀긴 감자의 GI가 감자 대비 15%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지속적으로 혈당지수를 높은 음식을 섭취하게 된다면 인슐린 저항성이 떨어지며, 이러한 부분들은 당뇨병을 악화시키게 됩니다. 

2) 인슐린 분비에 촉진 

감자 크로켓에는 마그네슘 및 아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마그네슘 결핍 시 인슐린 수용체 활성도가 45% 감소하지만, 감자의 마그네슘이 이를 보완합니다

마그네슘 100mg/일 추가 섭취 시 공복혈당이 5mg/dL 감소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연이 인슐린 분비 과다를 방지하여 β세포 피로도를 40% 낮춥니다

 

3) 나트륨의 포함 

290mg의 나트륨이 1회 제공량(150g) 기준 일일 권장량의 19%를 차지합니다.

나트륨 500mg/일 증가 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며, 신장 사구체 압력을 25% 증가시켜 당뇨병성 신장병을 악화시킵니다.

높은 나트륨의 섭취는 혈압이 상승하며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심혈관 질환에 매우 취약한 편에 속합니다.

나트륨의 섭취를 주의해야 하며, 혈당관리 및 혈압 관리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4) 트랜스지방 포함 

튀김 과정에서 부분경화유 사용 시 트랜스지방이 최대 0.3g/100g 생성됩니다.

트랜스지방 1g/일 섭취 시 인슐린 민감성이 12% 저하되며, 내장지방 축적량이 18% 증가합니다.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튀긴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 크로켓(감자) 요약 

  1. 고혈당지수(GI 70 ~ 75) · 고당부하지수(GL 28)로 혈당 급상승 유발
  2. 나트륨 290mg/100g으로 고혈압·신장 합병증 위험 증가
  3. 튀김 조리법이 인슐린 저항성 악화
  4. 단백질·비타민C 등 긍정적 요소는 부분적 혈당 조절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