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 지수 정보 모음/두류 당뇨 혈당지수 GI지수 GL 정보 모음

병아리콩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by 뚜리뚜리바 2025. 2. 25.
반응형

병아리콩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안녕하세요 ! 병아리콩 종류별 GI지수(혈당지수) 당지수 종류별 모음입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국내에 자료 및 해외자료들을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GI지수(혈당지수)의 경우 재배방식이나 지형 및 요리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마다 편차도 있습니다.

 

 

병아리콩 목차

1. 병아리콩 기본 정보

2. 병아리콩 혈당지수 당부하지수

3. 병아리콩 당뇨

4. 병아리콩 당뇨 요약

 

병아리콩 기본 정보

성분 병아리콩
기본 (100g)
에너지 (㎉) 183
수분 (g) 57.3
단백질 (g) 9.18
지방 (g) 3.2
회분 (g) 1.04
탄수화물 (g) 29.24
당류 (g) 0.71
자당 (g) 0.71
포도당 (g) 0
과당 (g) 0
유당 (g) 0
맥아당 (g) 0
갈락토오스 (g) 0
총 식이섬유 (g) 8.8
수용성 식이섬유 (g) 0.1
불용성 식이섬유 (g) 8.7

 

100g당 포함 함량 ((참고자료: 농진청(한국, 미국 , 일본))

병아리콩 혈당지수 및 당부하지수

 

1-1. 병아리콩의 혈당지수 (GI)

병아리콩의 혈당지수는 약 28 ~ 35 로 낮은 편입니다.

병아리콩을 섭취해도 혈당이 급격하게 상승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혈당 조절이 중요한 당뇨 환자들에게 유익합니다. 혈당지수가 낮은 식품은 일반적으로 소화 및 흡수가 느려 포도당이 천천히 방출되며,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2. 병아리콩의 당부하지수 (GL)

  • 100g 기준 당부하지수 (GL):9
  • 1회 제공량 (30g) 당부하지수:3
    병아리콩이 혈당 조절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병아리콩 당뇨

1) 낮은 혈당지수와 당부하지수

병아리콩의 낮은 혈당지수 28 ~ 35와 당부하지수 3은 낮은 수치에 해당 됩니다. 

혈당 상승을 천천히 유도하여 당뇨병 환자의 혈당 스파이크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소화 과정에서 탄수화물의 분해와 흡수가 느리게 진행되며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저항을 가집니다.

 연구에 따르면 혈당지수가 낮은 콩을 꾸준히 섭취하면 당뇨병 합병증 예방에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2) 불용성 식이섬유

병아리콩 100g에는 총 식이섬유가 8.8g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불용성 식이섬유(8.7g)가 풍부합니다.

식이섬유는 탄수화물의 소화 속도를 늦춰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장내 유익균의 먹이가 되어 장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3) 높은 담백질 포함 

병아리콩 100g에는 단백질이 9.18g 포함되어 있어 혈당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단백질은 혈당 변동을 최소화하며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 과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은 인슐린 감수성을 높여 혈당을 안정화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4) 인슐린 감수성 개선 

병아리콩의 마그네슘(61mg)과 아연(1.46mg)은 인슐린 감수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마그네슘 섭취가 부족할 경우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할 수 있으며, 병아리콩은 이를 보완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마그네슘이 부족하다면 인슐린 감수성이 떨어 질 수 있습니다. 

5) 저항성 전분 

병아리콩은 저항성 전분을 포함하고 있어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저항성 전분은 소화되지 않고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어 건강한 장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느린 소화로 인하여 혈당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6) 병아리콩에 대한 연구 

연구에 따르면, 병아리콩을 정기적으로 섭취한 그룹이 당뇨병 발병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부분들은 병아리콩의 낮은 GI, 높은 단백질 및 식이섬유 함량과 관련이 있습니다.

 

당뇨 병아리콩 요약

  1. 낮은 혈당지수(GI)와 당부하지수(GL) – 혈당을 천천히 상승시켜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2. 풍부한 단백질과 식이섬유 – 혈당 조절을 돕고 포만감을 유지하여 과식을 방지합니다.
  3. 항산화 성분과 미네랄 함유 – 인슐린 감수성을 높이고 당뇨 합병증 예방에 기여합니다.
  4. 저항성 전분  – 저항성 전분이 포함되어 혈당 안정성을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