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스프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안녕하세요 ! 소고기스프 종류별 GI지수(혈당지수) 당지수 종류별 모음입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국내에 자료 및 해외자료들을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GI지수(혈당지수)의 경우 재배방식이나 지형 및 요리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마다 편차도 있습니다.
★
소고기스프 기본 정보
성분 | 소고기 스프 끓인것 (가루) |
기본 (100g) | |
에너지 (㎉) | 40 |
수분 (g) | 90.3 |
단백질 (g) | 1.06 |
지방 (g) | 0.87 |
회분 (g) | 0.87 |
탄수화물 (g) | 6.91 |
당류 (g) | 2.72 |
자당 (g) | 0.65 |
포도당 (g) | 0.76 |
과당 (g) | 0 |
유당 (g) | 0.69 |
맥아당 (g) | 0.63 |
갈락토오스 (g) | 0 |
총 식이섬유 (g) | 0.9 |
수용성 식이섬유 (g) | 0.2 |
불용성 식이섬유 (g) | 0.7 |
100g당 포함 함량 ((참고자료: 농진청(한국, 미국 , 일본))
★
소고기스프 혈당지수 및 당부하지수
📊 1-1. 소고기스프의 혈당지수 (GI)
- ✅ 혈당지수 (GI): 약 55 ~ 70 추정
📉 1-2. 소고기스프의 당부하지수 (GL)
- ✅ 100g 기준 당부하지수 (GL): 약 3.5
- ✅ 1회 제공량 (200g) 당부하지수: 약 7
📢 소고기스프는 중간 및 높은 혈당지수이며, 스프의 농도가 높을수록 GL지수도 높아집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소고기스프 당뇨
1) 높은 혈당지수
스프의 GI 값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가공된 인스턴트 스프의 GI는 중간~높음(55~70)으로 추정됩니다.
탄수화물 100g당 6.91g으로 비교적 낮지만, 가루 형태로 조리 시 빠른 흡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부하지수의 경우에는 100g당 3.5로 추정하고 있으며, 스프의 농도가 높을수록 당부하지수는 높아 집니다.
2) 저 칼로리
100g당 40kcal로 저칼로리 식품에 속합니다.
과체중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 입니다.
스프를 식사 대용으로 섭취하면 총 섭취 열량을 줄여 혈당 조절에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단, 포만감을 높이려면 채소나 단백질을 추가해야 합니다.
3) 나트륨의 함량
100g당 나트륨 312mg으로, 1회 제공량(200g)으로는 624mg으로 자주 섭취할 경우 고혈압 위험이 증가합니다.
당뇨병 환자의 70% 이상이 고혈압을 동반합니다.
나트륨은 혈액량을 증가시켜 혈관 압력을 높이고, 미세혈관 손상(신장, 망막 등)을 가속화합니다.
2021년 Diabetes Care 연구는 고나트륨 식이가 당뇨 환자의 신장 손상이 될수 있습니다.
당뇨 환자가 하루 2,300mg 이상의 나트륨을 섭취할 경우, 심부전 위험이 2.3배 증가합니다.
4) 가공 과정
정제된 분말 스프는 고온 가공 시 비타민 C, B군 등이 손실됩니다.
비타민 C는 0mg으로 기록되어 있어 신선한 재료 대비 항산화 효과가 없습니다.
합성 첨가물이 포함될 경우 염증을 유발해 인슐린 저항성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당뇨 소고기스프 요약
- 혈당지수 55 ~ 70 추정 당부하지수 7 (200g 기준)
- 조리된 스프의 경우 저 칼로리로 적당량 섭취시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스프의 경우 나트륨이 포함되어 있으며 과다한 섭취는 혈압 관리에 부정 적이다.
- 스프의 가공 과정에서 영양성분의 소실이 크다.
'GI 지수 정보 모음 > GI 지수 당 지수 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부초밥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3) | 2025.04.07 |
---|---|
양송이스프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1) | 2025.04.04 |
군만두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3) | 2025.04.01 |
고기만두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3) | 2025.03.31 |
김치만두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1) | 2025.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