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안녕하세요 ! 라즈베리 종류별 GI지수(혈당지수) 당지수 종류별 모음입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국내에 자료 및 해외자료들을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GI지수(혈당지수)의 경우 재배방식이나 지형 및 요리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마다 편차도 있습니다.
라즈베리 목차
1. 라즈베리 기본 정보
2. 라즈베리 혈당지수 당부하지수
3. 라즈베리 당뇨
4. 라즈베리 당뇨 요약
★
라즈베리 기본 정보
성분 | 라즈베리 |
기본 (100g) | |
에너지 (㎉) | 56 |
수분 (g) | 85.01 |
단백질 (g) | 1.15 |
지방 (g) | 0.81 |
회분 (g) | 0.48 |
탄수화물 (g) | 12.55 |
당류 (g) | 6.54 |
자당 (g) | 0.44 |
포도당 (g) | 2.87 |
과당 (g) | 3.24 |
유당 (g) | 0 |
맥아당 (g) | 0 |
갈락토오스 (g) | 0 |
총 식이섬유 (g) | 4.3 |
100g당 포함 함량 ((참고자료: 농진청(한국, 미국 , 일본))
★
라즈베리 혈당지수 및 당부하지수
1-1. 라즈베리의 혈당지수 (GI)
라즈베리의 혈당지수는 약 30 ~ 40 로 낮은 편입니다. 혈당을 급격히 올리지 않아 당뇨병 환자나 혈당 관리를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과일로 평가됩니다. 낮은 GI는 식후 혈당 상승을 완만하게 만들어 줍니다.
1-2. 라즈베리의 당부하지수 (GL)
- 100g 기준 당부하지수 (GL): 약 3 ~ 4
- 1회 제공량 (100g) 당부하지수: 약 3 ~ 4
라즈베리가 혈당 조절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라즈베리 당뇨
1) 낮은 혈당지수와 당부하지수
라즈베리는 혈당지수가 30 ~ 40으로 매우 낮고, 당부하지수도 100g 기준 3 ~ 4 으로 혈당 상승을 최소화합니다.
이는 당뇨병 환자나 혈당 관리를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안전한 과일로 평가됩니다.
낮은 GI와 GL은 식후 혈당을 급격히 올리지 않아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2) 식이섬유 함량
라즈베리 100g에는 약 4.3g의 섬유질이 있으며,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 급상승을 방지합니다.
식이섬유는 위에서 젤 형태로 변하여 소화 과정을 늦추며, 이는 혈당 수치의 안정화에 기여합니다.
또한, 식이섬유는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여 당뇨병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3) 항산화 성분의 풍부함
라즈베리는 안토시아닌, 엘라그산 케르세틴 등의 항산화 물질이 풍부합니다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염증을 줄여 당뇨병 합병증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4) 체중 관리에 도움
라즈베리 100g당 열량은 56kcal이며, 당류는 6.54g으로 적은편에 속합니다.
당뇨병 환자에게는 체중관리가 중요하며, 체중관리를 통해서 당뇨병을 개선 할 수 있습니다.
5) 항 염증 효과
라즈베리의 항산화 물질은 만성 염증을 줄여 당뇨병 합병증 예방에 기여합니다.
특히, 엘라직산은 췌장 세포 보호에 도움을 줍니다.
당뇨병과 관련된 만성 염증 상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당뇨 라즈베리 요약
- 낮은 혈당지수(GI)와 당부하지수(GL)로 혈당 상승을 최소화합니다.
- 풍부한 식이섬유와 항산화 성분으로 혈당 조절과 인슐린 감수성 개선에 기여합니다.
- 천연 당분이 포함되어 있어 과도한 섭취 시 혈당 수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일부 개인은 알레르기 반응이나 위장 장애를 경험할 수 있으므로 섭취 시 주의해야 합니다.
'GI 지수 정보 모음 > 과일 당뇨 혈당지수 GI지수 GL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즈베리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3) | 2025.02.04 |
---|---|
망고스틴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2) | 2025.02.03 |
플럼코트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0) | 2025.02.01 |
아로니아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0) | 2025.02.01 |
꾸지뽕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1) | 2025.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