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 지수 정보 모음/과일 당뇨 혈당지수 GI지수 GL정보 모음

아보카도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by 뚜리뚜리바 2025. 1. 20.
반응형

아보카도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안녕하세요 ! 아보카도 종류별 GI지수(혈당지수) 당지수 종류별 모음입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국내에 자료 및 해외자료들을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GI지수(혈당지수)의 경우 재 아보카도방식이나 지형 및 요리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마다 편차도 있습니다.

 

 

아보카도 목차

1. 아보카도 기본 정보

2. 아보카도 혈당지수 당부하지수

3. 아보카도 당뇨

4. 아보카도 당뇨 요약

 

아보카도 기본 정보

성분 아보카도
기본 (100g)
에너지 (㎉) 160
수분 (g) 73.23
단백질 (g) 2
지방 (g) 14.66
회분 (g) 1.58
탄수화물 (g) 8.53
당류 (g) 0.66
자당 (g) 0.06
포도당 (g) 0.37
과당 (g) 0.12
유당 (g) 0
맥아당 (g) 0
갈락토오스 (g) 0.1
총 식이섬유 (g) 6.7

 

100g당 포함 함량 ((참고자료: 농진청(한국, 미국 , 일본))

아보카도 혈당지수 및 당부하지수

 

1-1. 아보카도의 혈당지수 (GI)

아보카도의 혈당지수는 약 15 로 낮은 편입니다.

아보카도가 섭취 후 혈당을 천천히 올려 당뇨병 환자에게 이상적인 식품임을 나타냅니다

1-2. 아보카도의 당부하지수 (GL)

  • 100g 기준 당부하지수 (GL):1 미만 
  • 1회 제공량 (70g) 당부하지수:1 미만
    아보카도 100g당 당부하지수는 1 미만으로 계산됩니다. 이는 1회 제공량(약 70g)의 당부하지수 역시 낮아 혈당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을 뜻합니다.

아보카도 당뇨

1) 풍부한 섬유질 

아보카도는 100g당 6.7g의 총 식이섬유를 포함하며, 이는 소화 속도를 늦추고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합니다.

식이섬유는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켜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를 돕습니다

섬유질은 높은 포만감을 제공하며 장운동을 개선하여 장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2) 단일 불포화 지방산 

아보카도의 14.66g 지방 중 9.8g은 단일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는 혈당 조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단일불포화 지방은 인슐린 저항성을 줄이고 심혈관 건강을 지원합니다.

3) 저 탄수화물 과일 

아보카도는 탄수화물이 100g당 8.53g으로 낮아 혈당 변동을 최소화합니다.

아보카도의 탄수화물 8.53g중  6.7g이 섬유질 이며 실질적으로는 혈당을 올리는 탄수화물은 매우 낮은편입니다. 

당류는 0.66g에 불과하여 당뇨 환자에게 적합한 식품입니다

4) 심혈관 질환 개선 

100g당 485mg의 칼륨은 나트륨 배출을 돕고 혈압을 조절합니다. 

칼륨은 혈압을 개선하며 심혈관 질환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단일 불포화 지방산이 포함되어 심혈관 건강을 지원 합니다. 

5) 혈당 안정화 

아보카도의 필수 아미노산 중 하나인 아르기닌(88mg)은 혈관 기능을 개선하고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킵니다.

아보카도에 글루탐산  287mg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백질 합성을 돕고 신진대사를 촉진합니다. 이는 혈당 안정화에 기여합니다.

 

당뇨 아보카도 요약

  1. 혈당지수가 낮아 혈당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적습니다.
  2. 풍부한 단일불포화 지방과 식이섬유로 혈당 조절과 심혈관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3. 비타민 E, C와 같은 항산화제가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합니다.
  4. 높은 칼로리 밀도로 인해 적정 섭취량 조절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