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렌지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안녕하세요 ! 오렌지 종류별 GI지수(혈당지수) 당지수 종류별 모음입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국내에 자료 및 해외자료들을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GI지수(혈당지수)의 경우 재배 방식이나 지형 및 요리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마다 편차도 있습니다.
오렌지 목차
1. 오렌지 기본 정보
2. 오렌지 혈당지수 당부하지수
3. 오렌지 당뇨
4. 오렌지 당뇨 요약
★
오렌지 기본 정보
성분 | 오렌지 |
기본 (100g) | |
에너지 (㎉) | 47 |
수분 (g) | 86.5 |
단백질 (g) | 1.15 |
지방 (g) | 0.11 |
회분 (g) | 0.4 |
탄수화물 (g) | 11.86 |
당류 (g) | 9.16 |
자당 (g) | 4.17 |
포도당 (g) | 2.28 |
과당 (g) | 2.71 |
총 식이섬유 (g) | 1.3 |
수용성 식이섬유 (g) | 0.5 |
불용성 식이섬유 (g) | 0.9 |
100g당 포함 함량 ((참고자료: 농진청(한국, 미국 , 일본))
★
오렌지 혈당지수 및 당부하지수
1-1. 오렌지의 혈당지수 (GI)
오렌지의 GI는 40~50으로, 이는 낮은 혈당지수 식품으로 분류됩니다. 낮은 GI는 혈당을 서서히 상승시키는 특징이 있습니다
1-2. 오렌지의 당부하지수 (GL)
- 100g 기준 당부하지수 (GL): 약 5 ~ 6
- 1회 제공량 (150g) 당부하지수: 약 7 ~ 9
오렌지가 혈당 조절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오렌지 당뇨
1) 풍부한 비타민C
오렌지는 100g당 55.9mg의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어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제공합니다.
이는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고, 세포 손상을 방지하며, 혈당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 C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준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민감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2) 낮은 혈당지수 당부하지수
오렌지의 혈당지수 40 ~ 50으로 낮은편이며, 당부하지수 1회제공량(150g) 기준으로 7 ~ 9으로 낮은편에 속합니다.
오렌지는 GI와 GL이 낮아 식후 혈당 급등을 방지합니다.
이는 특히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당뇨병 환자에게 유리하며, 혈당 변동성을 최소화합니다.
3) 섬유질의 포함
100g당 1.3g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그중 0.5g은 수용성 식이섬유입니다.
식이섬유는 혈당 흡수를 느리게 하여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장 건강을 개선합니다.
섬유질은 높은 포만감을 제공하며 당뇨병 환자가 과식을 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4) 항 염증 효과
오렌지는 베타카로틴과 플라보노이드(예: 헤스페리딘)를 포함하여 항산화 활성을 촉진합니다.
이러한 성분은 염증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민감성을 증가시켜 혈당 조절을 돕습니다.
플라보노이드와 비타민 C는 염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만성 염증은 당뇨병 진행에 기여하므로, 오렌지는 이를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5) 과도한 섭취 주의
오렌지는 낮은 GI와 GL을 가지고 있지만, 과도한 섭취는 총 탄수화물 섭취량을 증가시켜 혈당 조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적정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당뇨 오렌지 요약
- 오렌지는 낮은 혈당지수(GI)와 혈당부하지수(GL)로 혈당을 서서히 상승시킴.
- 풍부한 비타민 C와 항산화제가 인슐린 민감성 및 항염증 효과를 제공.
- 적절한 섬유질 함량으로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소화를 개선.
- 과도한 섭취 또는 주스 형태는 혈당 관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GI 지수 정보 모음 > 과일 당뇨 혈당지수 GI지수 GL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더베리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1) | 2025.01.20 |
---|---|
아보카도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1) | 2025.01.20 |
산수유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0) | 2025.01.18 |
산딸기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1) | 2025.01.18 |
블루베리 잼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0) | 2025.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