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분자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안녕하세요 ! 복분자 종류별 GI지수(혈당지수) 당지수 종류별 모음입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국내에 자료 및 해외자료들을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GI지수(혈당지수)의 경우 재 복분자방식이나 지형 및 요리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마다 편차도 있습니다.
복분자 목차
1. 복분자 기본 정보
2. 복분자 혈당지수 당부하지수
3. 복분자 당뇨
4. 복분자 당뇨 요약
★
복분자 기본 정보
성분 | 복분자 |
기본 (100g) | |
에너지 (㎉) | 88 |
수분 (g) | 77.6 |
단백질 (g) | 1.52 |
지방 (g) | 2.2 |
회분 (g) | 0.68 |
탄수화물 (g) | 17.96 |
당류 (g) | 8.06 |
자당 (g) | 0 |
포도당 (g) | 3.63 |
과당 (g) | 4.44 |
100g당 포함 함량 ((참고자료: 농진청(한국, 미국 , 일본))
★
복분자 혈당지수 및 당부하지수
1-1. 복분자의 혈당지수 (GI)
복분자의 혈당지수는 약 45 ~ 55 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복분자에 대한 혈당지수 자료는 없지만 와일드 베리랑 비슷한 성분으로 복분자의 혈당지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실질적으로는 차이가 나거나 다를 수 있습니다.
1-2. 복분자의 당부하지수 (GL)
- 100g 기준 당부하지수 (GL): 약 10
- 1회 제공량 (50g) 당부하지수: 약 5
복분자가 혈당 조절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복분자 당뇨
1) 안토시아닌 포함
복분자는 풍부한 항산화 물질인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안토시아닌은 인슐린 민감성을 개선하고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안토시아닌은 췌장의 베타세포를 보호하고 당뇨병으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안토시아닌은 혈당 스파이크를 줄이는 데 기여하여 식후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2) 풍부한 섬유질 포함
복분자는 총 식이섬유가 100g당 약 5-6g에 달합니다. 식이섬유는 포도당 흡수를 느리게 하여 혈당 급증을 억제합니다.
특히 수용성 식이섬유는 위에서 젤 형태로 변해 소화 속도를 늦추고, 이는 혈당 조절에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장기적으로 섬유질 섭취는 인슐린 저항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3) 체중 관리에 도움
복분자는 100g당 열량이 88kcal로 낮으며, 지방 함량이 2.2g로 적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체중 관리를 돕고, 비만과 관련된 2형 당뇨병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체중 관리는 당뇨병 예방과 관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4) 인슐린 민감성 개선
복분자는 필수 지방산인 오메가-3(0.27g)와 오메가-6(0.44g)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알파 리놀렌산은 항염증 효과가 있어 당뇨병과 관련된 만성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은 인슐린 분비와 민감성을 개선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5) 비타민의 포함
복분자는 비타민 C(3.05mg)와 비타민 E(1.84mg)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비타민 C는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고, 비타민 E는 세포막을 보호하여 당뇨병 합병증 예방에 기여합니다.
★
당뇨 복분자 요약
- 복분자는 안토시아닌과 섬유질 함량으로 인해 혈당 조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오메가-3 지방산과 비타민 C, E는 항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감소에 기여합니다.
- 낮은 칼로리와 지방 함량은 체중 관리와 당뇨병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 다소 높은 당류 함량으로 인해 적정량 섭취가 중요합니다.
'GI 지수 정보 모음 > 과일 당뇨 혈당지수 GI지수 GL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도 복숭아 통조림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0) | 2025.01.15 |
---|---|
백도 복숭아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2) | 2025.01.15 |
바나나칩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1) | 2025.01.08 |
후숙 바나나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1) | 2025.01.08 |
그린 바나나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3) | 2025.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