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 지수 정보 모음/GI 지수 당 지수 정보 모음

크로켓(채소)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by 뚜리뚜리바 2025. 4. 26.
반응형

크로켓(채소)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GI GL 당뇨  

안녕하세요 ! 크로켓(채소) 종류별 GI지수(혈당지수) 당지수 종류별 모음입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국내에 자료 및 해외자료들을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GI지수(혈당지수)의 경우 재배방식이나 지형 및 요리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마다 편차도 있습니다.

 

크로켓(채소) 기본 정보

성분 크로켓, 채소 크로켓, 냉동
기본 (100g)
에너지 (㎉) 157
수분 (g) 63.5
단백질 (g) 4.6
지방 (g) 4.9
회분 (g) 1.7
탄수화물 (g) 25.3

100g당 포함 함량 ((참고자료: 농진청(한국, 미국 , 일본))

 크로켓(채소) 혈당지수 및 당부하지수

📊 1-1. 크로켓(채소)의 혈당지수 (GI)

📉 1-2. 크로켓(채소)의 당부하지수 (GL)

  • 100g 기준 당부하지수 (GL):18 
  • 1회 제공량 (150g) 당부하지수:28

📢 크로켓(채소)는 중간 혈당지수 및 당부하지수로 섭취시 적당량 섭취를 해야 합니다. 

크로켓(채소) 당뇨

1) 높은  혈당지수와 당부하지수

채소 크로켓의 혈당지수는 70-75로 고GI 식품이며, 당부하지수 28 으로 매우 높은 수치 입니다 (1회 제공량 기준)

튀김 과정에서 전분 구조가 변형되어 소화 효율이 증가하며, 혈당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지속적으로 혈당지수를 높은 음식을 섭취하게 된다면 인슐린 저항성이 떨어지며, 이러한 부분들은 당뇨병을 악화시키게 됩니다. 

채소 크로켓은 주로 으깬 감자, 당근, 양파, 옥수수, 밀가루, 빵가루 등으로 구성되 GI 및 GL 수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2) 식이섬유의 포함 

채소 크로켓에는 감자, 당근, 양파 등의 채소가 들어 있어 식이섬유를 공급합니다.

식이섬유는 소화 속도를 늦추고 포만감을 증가시켜 혈당 급상승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불용성 식이섬유는 장내 활동을 돕고 당 흡수를 지연시켜 인슐린 반응을 안정화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시중에 판매하는 크로켓의 경우에는 채소의 함량이 매우 낮기 때문에 섬유질이 소량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3) 나트륨의 포함 

채소 크로켓에는 간을 맞추기 위해 소금이 사용되며, 일부 제품은 조미료까지 포함돼 나트륨 함량이 높은 편입니다.

나트륨 섭취 과다 시 고혈압 위험이 높아지며, 이는 당뇨 환자의 심혈관 질환 발병률을 높이는 요인이 됩니다.

당뇨 관리에는 저염식이 바람직합니다.

 

4) 포화지방 포함 

채소 크로켓을 튀길 때 식용유를 사용하게 되며, 튀김 과정에서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제2형 당뇨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자주 튀긴 기름은 염증 유발 가능성이 커져 혈당 조절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당뇨 크로켓(채소) 요약 

 

  • 채소 크로켓은 식이섬유와 항산화 성분 덕분에 혈당 조절에 일부 도움이 됩니다.
  • 튀김으로 인해 혈당지수와 포화지방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 나트륨 함량이 높을 수 있어 고혈압 및 혈관 건강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 조리법을 바꾸면 당뇨 환자에게도 더 안전하게 섭취 가능해집니다.

 

반응형

댓글